제가 전에 '웬만하다'의 본말이 '우연만하다'인 것을 보고는 마치 '되어'가 '돼'로 축약되는 것과 비슷한 것 같아 유사한 경우를 좀 더 찾아봤습니다. 제가 찾은 경우는 표준어에서 '뒤영벌 → 뒝벌'과 '*뒤어지다(드위-어 디-) → 뒈지다'밖에 없었습니다. 방언까지 살피면 '귀엽다 → 궵다', '수염 → 쉐미', '쥐엄쥐엄 → 쥄쥄', '튀어지다 → 퉤지다' 정도가 있더군요.
이런 사례를 볼 때 'ㅜ여'나 'ㅚ어' 등의 꼴이 전설모음화나 반모음 첨가를 통해 ㅙ나 ㅞ로 축약되는 현상은 있었던 것 같습니다. 하지만 여기서 용언의 활용형 'ㅚ어'의 축약은 허용되었는데 '쉬어'가 '*쉐'로 되는 등의 축약은 허용되지 않았죠. ㅞ로의 축약은 활발한 ㅙ로의 축약에 비해 표준어가 제정될 때까지 용언의 활용형을 제외한 오직 일부 단어에 그친 것 같습니다. 그렇다면 왜 ㅙ로의 축약만 생산적으로 일어난 것일까요?
이렇게 ㅟ어가 축약되지 않는 것에 불편을 느낀 것인지 저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'ㅟ어'를 ㅞ는 아니더라도 [ɥʌ]로 축약해 발음하고, 심지어 쓸 때에도 엄밀하진 못해도 '바꼈다'와 같이 반영하는(물론 저는 저리 적진 않습니다,,)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것 같습니다.
이런 차이는 왜 일어났을까요? 고1이 두서없이 적어봅니다..
향문천 님이 한 번 쯤 다뤄 주셔서 궁금증이 해결되었으면 좋겠네요.
오.. 저도 갑자기 궁금해지는군요